프로 스튜디오 작업사례

안녕하세요 어쿠스틱퓨저입니다.

최근 작업기를 공유합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번에 작업된 공간은 결과가 아주 좋았습니다.

어쿠스틱퓨저에서는 EBU 3276을 기반으로, 리스닝 룸에 대해서 실내음향의 목표 사양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제안된 지 긴 시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훌륭한 가이드라인이 되는 문서로, 스튜디오나 전문적인 리스닝 룸을 꾸미려고 하시는 분이시라면, 꼭 참고해 보실 만한 문서입니다.

이러한 표준에 가급적 다가가는 것은, 컨텐츠를 제작하는 분이나, 컨텐츠에 담긴 정보를 정확하게 듣고 싶으신 분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결과 데이터를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우리는 놀랍도록 잘 제어된 인 룸 주파수 응답을 볼 수 있습니다.

저역과 고역에서 자연스러운 룸커브와 각 대역마다 아주 잘 제어된 경향성을 볼 수 있습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잔향 또한 매우 안정적인 수준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균형 잡힌 잔향 수준은 공간적으로 “투명함” 을 제공하는 부분이며, 주파수 응답 못지 않게 강조되는 부분입니다. 잔향시간의 경향은 EQ등으로는 수정이 어렵기 때문에, 룸 어쿠스틱에서 해결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공간에서 영향력이 강한 공진이 없이 깨끗한 좋은 응답이 나왔으며, 이것은 리스닝 존 안에서 부밍등의 악영향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상당히 넓은 공간임에도 이런 좋은 결과를 달성할 수 있었던 이유는 목표점을 제시하고, 현 상태를 파악하여, 나쁜 음향 현상을 최대한 제거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어쿠스틱퓨저는 목표로 하는 실내 음향 결과에 가깝게 나올 수 있도록, 현장의 음향 상태를 파악하여 부족한 부분을 교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작업하고 있습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측정 당일 가장 먼저 시도한 것은 스피커의 위치 교정입니다.

빨간색 그래프가 최초 위치이며, 파란색 위치는 교정 위치입니다.

스피커와 청취자 위치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룰에서 시작합니다.

  1. 룸모드로 인한 딥, 피크를 가급적 피할 것 (스피커, 청취자 모두)
  2. 가급적 정삼각형 구도를 구현할 것

이렇게 스피커 위치를 교정하게 되는 것 만으로도 주파수 응답의 균일성에 많은 도움을 주게 됩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출처 :https://giner.com.br/modos-acusticos/)

룸모드로 인한 딥 피크를 피하는 것에 대한 예시로 아주 좋은 자료가 있습니다.

위 사진은 아주 널리 쓰이는 룸 모드 계산기입니다. 공간의 길이, 너비, 높이를 입력하면, 공간에서 룸 모드 분포 위치와, 주파수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 스피커와 청취 위치를 보면 높은 봉우리와 골짜기를 피해 서 위치를 선정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위 그림은 스피커 위치를 세팅하기 위해서 만든 자료입니다.

기본적인 설치 제안과 실제 결과는 다양한 원인으로 실측과 차이날 수 있으므로, 세팅 후에는 측정과 교정이 필요합니다.

재밌는 사실로, 공간이 넓을수록 룸모드의 포인트 사이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세팅할 수 있는 자유도가 더 보장됩니다. 예를 들어 스피커를 전면에서 10%이내로 띄우기로 했을 때, 10% 해당하는 거리가 더 커져서, 스피커를 둘 수 있는 자리에 좀 더 여유가 생깁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설치 전 RT 측정 결과 입니다. 기존 어느정도 전체 흡음처리가 되어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RT가 아주 이상하게 나오지는 않지만, 고역-저역간 불균형이 있습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관련해서 다소 문제가 될 것 같아 보이는 부분은 명료도 불균형이 지나쳐 보이는 점이 있었습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리고 약간의 룸 모드가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정리하면

잔향 불균형, 명료도 불균형, 공진 등이 공간에 남아있는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다양한 저음 문제에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는 아이디어는 역시 T trap M 입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최근 개발된 신규 제품인 AT250M 입니다. T trap M과 함께 M 시리즈의 일원이 된 이 제품은 일반적으로 흡수하기 어려운 저역대를 처리하기 위해서 개발되었습니다. 현재 시공으로 몇몇 공간에 작업되었는데 효과가 상당히 좋습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세팅된 AT250M 의 모습. 멤브레인 타입이라, T trap M 과 같이 전면이 막혀있고 매끈합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전면 베이스 흡음을 도와줄 AT250들과, 스피커 높이의 코너를 커버해줄 수 있도록 R trap 이 T trap M 위에 올라가게 되었습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청취 위치까지 커버해줄 수 있는 좌우 흡음-확산 복합 소재의 사용입니다.

스피커의 좌우면은 확산처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흡음율이 너무 높다면 디퓨저를 설치해서 확산을 더해주는 편이 좋습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천장에는 넉넉한 수량의 R 트랩이 계획 되었습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설치 후 커스텀 EQ를 사용하기 전 응답의 비교입니다. 딥 피크의 크기와 날카로움이 설치하기 전보다 엄청 좋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잔향시간 측면에서는 보다 안정되고 투명한 잔향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었습니다. 200Hz와 8K의 잔향시간 차이가 50ms 이내이면서 선형적인 모습으로, 공간의 잔향감이 상당히 투명한 상태입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명료도 또한 큰 폭으로 개선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보다 균형 있으면서, 낮은 저역까지 더 명료하게 청취하고, 판단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결과적으로 투명하고 중립적인 멋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대역폭, 주파수 균일도, 톤 밸런스, 잔향, 명료도, 공진 여러 가지 리스닝 팩터에서 높은 점수를 줄 수 있는 이런 공간을 만들게 되서 정말 기쁩니다.

어쿠스틱퓨저는 EBU-3276 리스닝 룸 레퍼런스의 엄격한 국제 표준을 목표로 공간을 튜닝하고 있으며, Sound Reproduction(Floyd toole저) 을 참고하여 보다 좋은 음질로 감상할 수 있도록 노하우를 더하고 있습니다.

#소음, #모니터스피커, #베이스트랩, #흡음판, #오디오, #audio, #스피커, #흡음재, #홈시어터, #홈씨어터, #연습실, #mastering, #마스터링, #믹싱, #mixing, #녹음실, #프로듀서, #스튜디오, #음향기기, #뮤지션, #acoustic, #어쿠스틱, #eq, #공진, #어쿠스틱퓨저, #acousticfuser, #방음부스

리스닝 룸 튜닝 레퍼런스

어쿠스틱퓨저 : 네이버 블로그

방문측정 신청 링크

https://smartstore.naver.com/acousticfuser/shoppingstory/detail?id=5000298521

3개의 좋아요